본문 바로가기
주식 공부 이야기

#17. 투자공부를 할 때는 독서가 최고인 이유?

by Pro-Pathfinder 2025. 5. 5.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투자공부를 할 때는 독서가 최고인 이유를 가지고 저의 개인적인 생각을 공유드리고 싶어서, 글을 써보게 되었습니다
물론 저처럼 일 방문자가 얼마되지 않는 사람의 블로그에서 이런 글을 쓰는 것이 적당한가 싶은 생각이 들지만, 블로그니깐 저의 개인적인 생각과 제가 깨우친 이유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1. 왜 투자공부는 독서인가?

투자공부를 할 때 왜 독서를 해야하는 이유를 말씀을 드리자면, 식견을 넓히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식견을 넓히기 위해서 노력을 하는데요. 그런 식견을 넓히기 위해서는 배움과 경험이 있어야 되는데, 사람의 특성상 시간 한계의 직면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 시간의 한계를 초월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많은 성공한 투자자 및 기업가들의 패턴을 보면, 하루에 독서를 하는 시간을 꼭 가지고 간다는 것입니다. 많은 분들이 독서가 저자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수단이라고 생각하는데요. 투자자와 기업가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경험의 공유'이지 않을까 싶어요. 기업가의 입장에서는 다수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아이템을 만들어서 서비스한다면 엄청난 수익을 얻을 수 있겠조. 그리고 투자자 입장에서는 많은 사람들의 불편함을 알고, 사회의 흐름을 안다면, 한 발 앞서서 투자를  할 수 있는 수단이 되니 좋은 기회를 알려주는 수단이 되기 떄문이라고 생각합니다.

2. 투자공부 할 때는 어떤 것을 읽어야 할까?

많은 분들이 독서를 생각한다면 '책(book)'이라고만 생각할 수 있는데요. 저는 조금 다르게 해석하고 싶습니다. '독서'라는 것은 무언가를 읽는 행위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제공하는 모든 매체(신문, 일간지 등)를 읽는 것을 독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2-1. 신문을 통해서 시각을 넓혀 보자!

물론, 편향되지 않은 시각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매체를 통하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말이죠. 그래서 최근 은퇴한 워렌 버핏과 우리 나라의 성장을 이끈 정주영 회장님과 같이 매일 신문을 읽는 습관을 기르는 것도 투자를 위한 시각향상과 사업을 위한 시각 다변화를 위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매일 신문을 보면 좋은 점은 주요 소식을 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발행하는 신문사별로의 정치적, 경제적 시각의 성향이 다르기 때문에 편향된 시각을 가질 수 있는 단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신문을 읽으시려는 분들에게는 중립적인 부분의 매체를 고르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그것이 제한되고 지갑사정이 충분한 여유가 있다고 한다면, 여러 매체의 신문을 구독하여 읽는 방법도 추천을 드립니다. 

2-2. 여러 투자자 및 사업가들의 성향을 알 수 있는 방법 중 하나!.

우리가 서점을 가면 여러 성공한 투자자 및 사업가들이 출간한 책들을 많이 볼 수 있는데요. 그런 책들을 한번 읽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많은 정보를 통해서 본인들의 성향을 알아볼 수 있는 좋은 방벙이라고 생각하는데요. 본인이 빠르게 돈을 굴리고 싶은 사람이라고 생각하지만, 정작 본인의 성향은 그것이 아닌 사람들이 존재하고, 안정적이게 투자를 하고 싶은 사람이지만, 본인이 생각했을 때 '이렇게 하면 더 빨리 부를 창출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그런 사람들에게는 반드시 투자관련된 책을 다양한 종류를 통해서 읽어으시라고 권유를 드리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투자와 관련된 책 만큼 저자 본인들의 경험을 적지 않은 책들이 작기 때문입니다. 저는 지금에 말씀을 드리자면, 내가 가진 돈을 빠르게 굴려서 더 많은 부를 창출해내고 싶은 전형적인 한국 투자자였습니다. 하지만, 저는 많은 책을 읽고 난 후 에 저의 성향에 대해서 알  수 있었는데요. 저는 빠르게 돈을 릴 수 있는 그런 성향은 아니었습니다. 저는 공격적인 투자를 못하고, 안정적인 투자를 하고 싶어하며, 많은 기업 분석을 빠르게 하지 못하기 때문에 내가 잘 알 수 있는 산업군과 기업에 투자를 하여야 되는 성향인 것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제가 월 분배금을 주는 ETF에 장기투자를 결정하게 되었으며, 그 결정이 옳은 결정이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반응형

3. 어떤 매체를 추천할까?

사실 저도 많은 매체를 접하고 있지 않습니다. 제가 접하고 있는 매체라고 해봐야 네이버 뉴스 탭에서 <매일경제>에서 경제와 관련된 기사를 보거나, <밀리의서재>에서 '경제/경영' 카테고리에 있는 책들을 읽고 있는 중인데요.

물론 제가 글을 쓰면서 느낀 것은 '너는 여러매체를 접하지 않으면서 다른사람에가 여러매체를 접하라고 하는 것이 맞냐?'라는 내면적 의문이 들었지만, 처음 투자를 하시는 분들에게는 그만큼의 초기 투자를 하지 않으면 안된다라는 인식과 저보다 투자를 오래하셨던 분들에게는 편향된 시각으로 시장을 바로 보면 손실이 날 수 도 있있다는 이야기를 드리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마무리 하며!

저도 최근에 여러가지 매체(인터넷 기사, 독서, 유튜브 등)을 통해서 시각을 넓혀가고 있는데요. 많은 투자 및 사업을 하시려는 분들이 독서를 통해서 시각을 넓히셔서 실패하는 투자, 망하는 사업을 안하셨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렇게 글을 써보게 되었습니다. 

투자와 사업에는 해답이 없다고들 하지만, 실패하는 방법은 명확하다고 합니다. 그것은 바로 실패하는 사람들이 써낸 책과 만들어낸 흔적들이 있기 때문이죠. 저는 제주변 분들과 이글을 읽는 많은 분들이 그런 행위를 반복하지 않고, 성공한 투자자 및 사업가가 되식시를 기원하며 이 포스팅을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